반응형

엔딩 다이아고날 6

5.20 비트코인 차트 분석 (짧) F

- 4월 봉 마감은 하락 추세 - 최소 범위에서 반 익절 하고 나머지는 관망하기 - 언제나 반반, 큰 인터벌의 파동을 우선할 것 (1 파도 ABC 가능) - 배율은 2.5~3 고정, 중간 진입하지 말고 원하는 자리에서 기다리기 - 월봉 하단까지 홀딩 0. PLAN A = 23k, PLAN B = 약 반등 후 23k 0-1. 월봉 하단에서 매집할 것 1. 단기 관점 변경 1-1. 형광펜으로 그린 부분이 5파 하락의 시작이라고 생각했지만, 내부 c파동이 엔딩 다이아고날 형태로 끝나서 최소 반등을 볼 수 있는 상황이었음(상승 다이버전스 확인) 1-2. 최소 반등 이후 반반의 상황에서 형광펜 abc의 규모가 a=c라고 느끼지 못하여 스위칭 후 손절. 반 익절 후 홀딩하는 게 정답이었다 1-3. 이후 노란 추세선..

10.12 비트코인 차트 분석 (엘리어트)

엘리엇 파동이론 기반 차트 분석 단기적 관점의 분석 0. 파동 파악 불가 + 현물 관망 + 역방향 추세선 매매 0-1. 장기 시나리오 1 관점 = ABC 조정중 매매복기 상단 추세선에서 오래 비비는 모습 + 조정이 너무 짧았던 점 + 손익비 좋은 위치 but 모르는 자리 를 가지고 역추세 진입을 했으나 로스컷을 툭툭 치고 올라가 손절 손절났을땐 즉시 매매 중지해야했으나 여러번 욕심부리다가 손해... 잡알트들이 일제히 하락하기 시작 1. 단기 상방 관점 (5파동 진행 중) 1-1. 3 파의 위치에서 치고 올라갔어야하는데 abc를 그려줌 > 확산형 엔딩 다이아고날로 추측 1-2. 확산형이 자주 등장하지는 않지만 21년 6월 22일에 나온적이 있는데 몰라서 틀렸던 기억. 상단 추세선을 뚫지 못하고 하락했음 1..

리딩 다이아고날 Leading diagonal 엔딩 다이아고날 Ending diagonal

추진파에 등장하는 웻지 모양의 패턴을 다이아고날이라고 부르며, 리딩 다이아고날과 엔딩 다이아고날이 있다 (엘리엇 파동에서 추진파는 A, C,1,3,5 파를 말하며 조정 파는 B,2,4를 뜻함) 패턴은 이해하기 쉽지만 엘리엇 파동을 알아야 웻지와 다이아고날을 구분할 수 있음 실제 차트에 등장한 부분을 예시로 첨부하며 진입 시점을 추천 일반적으로 끝이 수렴하는 패턴이지만, 아주 가끔 expanding 형태를 가진 모습도 나온다 (고려하지 않는 것 추천) 패턴 등장 시 지속적인 추가 예정 1. 리딩 다이아고날 Leading Diagonal 리딩 다이아고날은 상승장에서는 상승하는 삼각형 모양, 하락장에서는 하락하는 삼각형 모양을 하며, 임펄스(5 파동)의 1 파를 담당하며 상승을 예고한다 추세를 이끄는(lead..

차트 패턴 2021.09.18

9.17 비트코인 차트 분석 (엘리어트) F

엘리엇 파동이론 기반 차트 분석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 모든 상승 시나리오는 29.3k에서 절단을 가정 0. 하락 관점 0-1. 설정해둔 진입구간에 오지 않았으나 정찰대 미리 투입 0-2. 거시적 관점 2가지를 세팅하고 추세를 지켜보며 소거 + 단기적 관점 1. 삼각수렴 1-1. 비트코인은 더 큰 관점의 4 파동 구간 진행 중으로 판단되므로 수렴 조정의 가능성 존재 1-2. 대형 삼각수렴 생성 후 100k 돌파. 삼각수렴의 경우 입구 길이만큼 돌파하는 경향이 있음 1-3. 하단 노란 선에 올 경우 알트코인 매수 1-4. 1 파동이 5 파로 구성되어있으므로 2번 시나리오가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함 2. 하락 ABC 2-1. 보라색 구간에 볼륨이 터졌음에도 매물대를 시원하게 뚫지 못하여 하락할 모습 2-..

8.22 비트코인 차트 분석 (엘리어트)

0. (1) 파가 연장된 5 파의 관점 1. (5) 파 진행과 이후 시나리오 1-1. 5 파 생성 또는 엔딩 다이아고날 생성 후 하락 임펄스 등장 1-2. 직전 파동 고점이 거래소마다 상이하여 관망 1-3. 보라색 구간 포지션 체인지 * 마지막 v에서 iii 파보다 더 큰 볼륨이 튀었으므로 3파동 연장 가능성을 봐야 함 > 54k 가능 ** 보라색 구간 이전에 (5) 파 완성 가능성 존재. 일찍 스위칭 하기 2. 연말 불장 시나리오 2-1. 29.3k에서 하방 5파가 절단된 경우로 판단해야 함 2-2. 29.3k에서 시작되어 곧 종료될 파동이 1파가 됨 2-3. 최소 82k는 갈 것으로 판단되지만, 절단의 특성상 가능성을 낮게 보는 중 큰 변화가 없으므로 오늘은 여기까지 카르다노 에이다 (ADA) 기반 ..

8.16 비트코인 차트 분석 (엘리어트)

0. 4.23~26일의 강력한 저항선인 47.6k를 깰 수 있을것인가? 1. 47.6k의 저항을 받으며 상승하지 못한다면 엔딩 다이아고날 생성 후 하락. 1-1. 거래량 감소 중. 2. 일반적인 상승 5 파동을 그리며 마무리. 2-1. 다음 저항선인 50.4k 부근에서 마무리될 가능성. 2-2. 고점은 3 파동의 상승량에 달림 3. 초록색 메인 5 파동의 1 파동이 연장되었다는 가정하에 5 파동 종점은 786 부근이므로 이미 상승파동이 종료되었을 가능성 존재. 4. 선행카운팅을 실수한 경우 4-1. 4파동이 수렴. 4-2. 전고점 갱신시 폐기. 4-3. 위 그림보다 한 스케일 크게 나올 가능성 매우 큼. lv100까지 달립니다

1
반응형